2013. 7. 11. 15:37ㆍ선교 교회이야기
출처 : 인보라사역(중국선교연구원)
http://www.inbora.com/bbs/board.php?bo_table=board1&wr_id=879
** 단어를 매끄럽게 수정함.
--------------------------------------------
중국소수민족탐구
김복중
들어가는
말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토지와 많은 인구를 가진 국가로서 초기 문명 발전 국가의 하나이며 진(秦), 한(漢)이래 중국은
다민족으로서 통일된 국가를 유지해 왔다. 2000년 인구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56개 민족으로 구성돼 있으며 그 중 한족(漢族)인구가
1,137,386,112명으로서 전국 총 인구의 91.59%를 차지하고 있으며,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104,490,735명이며, 전국 총
인구의 8.41%를 차지하고 있다. 1,000만 이상인 소수민족은 쫭족(莊族)이며, 1000만 이하 100만 이상인 소수민족 멍꾸족(蒙古族)외
16개 민족, 100만 이하 10만 이상인 소수민족 수이족(水族) 이외 14개 민족이며, 인구 10만 이하인 소수민족 뿌랑족(布郞族) 이외
14개 민족이며, 인구 1만 이하인 소수민족 고산족(高山族) 이외에 6개 민족이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 분포의 특징은 각 민족이 여러
지역에 분산돼 살고 있거나, 소규모로 모여 살고 있으며, 2.1만여㎢가 넘는 변방(邊防)지역 중에 1.9만여㎢의 변방과 인접한 지구에 대규모로
살고 있기에, 전국 123개 변방 지구가 거의 소수민족 지구이며, 30여개의 소수민족이 국경 너머의 인접 국가에 살고 있는 민족과 민족 구성을
같이하고 있다. 한족은 주로 내지와 동남 연해의 각 성, 시에 살고 있으며 소수민족은 주로 변방 지역인 각 성,자치구 등에 살고 있다. 소수민족
인구의 수가 많지 않으나 거주 지역은 광범위하다. 전국 159개 민족자치 지역이 전 국토 면적의 64.3%를 차지하고 있다.
소수민족분류
민족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함에 있어서 크게 두 부분으로 대별된다고 볼 수 있다.
자본주의체제하에서 형성된 인류학(중국에서는 민족학으로 부르며 점진적으로 인류학으로 고치는 연구소와 대학이 있다)과 사회주의체제하에서 형성된
민족학(인류학)은 그 목적과 대상이 동일하나 분류 방법과 접근방법에서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분류방법이 다름으로서 서구에서 분류한 중국의
소수민족과 중국내에서 분류한 소수민족이 다르다는 것이다. 아울러 서구에서의 접근방법이 언어인류학적으로 중국내의 소수민족을 구분한 관계로 지역과
언어, 경제, 심리상태 등 여러 측면을 참고한 종합적인 접근방식보다 민족의 세분화에 기여를 하고 있으나 현지의 소수민족구분체계와 다를 뿐 아니라
공동언어 이외의 요소들을 배제한 결과 같은 민족을 분할하여 다른 민족으로 만들어놓은 경우가 있다. 즉 한국의 한민족(韓民族)을 경상도민족,
전라도민족으로 나누어 논 경우와 같다. 좋은 이론과 방법이 현지의 사정에 부합되지 않는 한 일개 학설 아니면 견해에 불과하지 대표성과 객관성을
구비했다고 볼 수 없다. 국외의 교회와 선교기관이 서구의 중국소수민족에대한 분류방법으로 중국내의 소수민족 사역을 시작할 적에 국외와 국내의 서로
다른 분류로 인하여 중국현지에서 실질적으로 사역을 함에 있어서 혼동이 주기에 중국소수민족의 정의와 분류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당연히 통일의
기준점은 중국현지에서 통용되는 분류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
중국에서 민족의 정의를 “공동지역, 공동언어, 공동경제생활,
공동심리상태” 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1953년 제1차전국인구조사시 400여민족이 민족의 승인을 받고자 중앙에 신청하였다. 이에 중국정부는
1953년부터 민족식별(民族識別)을 위하여 대규모 인원을 투입하여 민족식별사업에 착수하였다. 중국의 민족정의인 4대 특징에 역사, 문화, 사회,
경제 등을 참고하여 38개 민족(빠이족:Bai, 빠오안족:Baoan, 뿌이족:Buyi, 따이족:Dai, 똥족:Dong, 똥시앙:Dongxiang,
어룬춘족:Elunchun, 어원크족:Ewenki, 까오산족:Gaoshan, 하니족:Hani, 후이족:Hui, 찡포 족:Jingpo,
차오시엔족:Korean, 카자크족:Kazak, 키르키츠족:Kirgiz, 라후족:Lahu,리족:Li, 리쑤족:Lisu, 만족:Manchu,
미야오족:Miao, 멍꾸족:Mongolian, 나씨족:Naxi, 치앙족:Qiang, 어루어쓰족:Russian, 싸라족:Sala,
쑤이족:Shui, 타지크족:Tajik, 타타르족:Tatar, 장족:Tibetan, 투족:Tu, 위구르족:Uygur,우즈베크족:Uzbek,
와족:Wa, 시버족:Xibo, 야오족:Yao, 이족:Yi, 위꾸족:Yugu, 쭈앙족:Zhuang)을 확정지었다. 운남지역의 260개의 민족을
22개의 민족에 귀속 시키는등 기타 민족들도 조사 후에 기존의 유사민족에 귀속시켰다. 1964년 제2차 전국인사조사시 183개의 민족이 민족의
승인을 받고자 중앙에 신청하였으나 중국정부는 기존의 38개민족 외에 15개민족(아창족:Achang, 뿌랑족:Bulang, 따우얼족:Daur,
더앙족:Deang, 두룽족:Dulong, 꺼라오족:Gelao, 허쩌족:Hezhe, 찡족:Jing, 마오난족:Maonan, 무라오족:Mulao,
먼빠족:Menba, 누족:Nu, 푸미족;Pumi, 써족:She, 투지아족:Tujia)을 확정하였다. 이후 1965년에 루어빠족(Luoba)을
승인하였으며 이어 1979년 지누어족(Jinuo)을 단일 소수민족으로 확정하였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민족명을 한문과 영문병음으로 표기
하였음)
소수민족역사
중국소수민족역사는 크게 3가지 방면에서 진행되어왔다.
1) 자고이래로 중국경내의
소수민족 선조들이 장기적으로 통합과 분리 등을 거쳐 오늘날 중국소수민족을 형성하였다는 관점과 2) 국내외 각 민족들이 장기적으로 상호융합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중국소수민족을 형성하였다는 관점, 그리고 3) 국경 밖의 타민족이 중국경내로 진입하여 발전함으로 오늘날 중국의 소수민족이
되었다는 관점 등이 있다. 이러한 역사의 배경가운데 지역 별로 중국소수민족의 역사는 발전해 왔다.
소수민족특징
중국 소수민족은 문화적 특징과 종교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화적 특징으로는 각 민족별로 고유한 문화가 있어 그들만의 언어와
절기와 풍습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는 특히 본 민족의 종교와 깊이 연관되어 있어 종교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겠다.
첫째,
대부분의 소수민족은 본 민족의 고유한 원시종교를 위주로 믿는다. 각 민족마다 원시종교의 발전과정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상숭배와 자연숭배이다.
각 민족의 고유한 종교는 대부분 이 타종교 영향을 받았다. 둘째, 많은 민족이 한 종교를 위주로 한 두세 가지 이상의 종교를 겸하여 믿는다.
혹은 본 민족이 주로 신앙하는 종교 이외에 이전에 신앙했던 종교를 보존하거나 부분적으로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슬람교를 믿는 카자흐족,
키르기즈족 등 민족은 이슬람교를 믿는 동시에 일부의 샤머니즘의 신앙이 있다. 셋째, 많은 민족이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종교를 믿었다. 예를 들어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족, 카자흐족, 우즈벡크족, 타지크족, 타타르족, 키르기즈족등의 민족은 이전에 샤머니즘, 배화교와 불교를 믿었다. 넷째,
각 민족의 종교 간에 영향을 주고받았다. 다섯째, 기본적으로 각 종교사이의 충돌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여섯째, 각 소수민족의 종교는 본
민족의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었으며 본 민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소수민족종교
‘중국 소수민족
종교’는 광의(廣義)와 협의(狹義)적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광의적 의미로서의 중국소수민족종교는 중국 소수민족이 믿는 모든 종교(고대와
현재의 모든 종교)를 가리킨다. 협의적 의미에서의 중국소수민족종교는 불교, 라마교, 도교, 이슬람교, 기독교 이외에 소수민족이 믿고 있는
원시종교를 가리킨다.
후이족, 위그르족, 카자흐족, 똥시앙족, 빠오안족, 싸라족, 우즈벡크족, 타지크족, 타타르족, 키르기즈족
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주로 중국의 서북에 분포되어 있다. 티베트족, 멍꾸족, 투족, 위꾸족 및 일부 먼빠족, 나씨족, 푸미족, 누족 등은
라마교를 믿으며 티베트고원과 내몽고, 동북지구에 분포되어 있다. 따이족, 푸랑족, 더앙족, 아창족 및 일부 와족 등 민족은 소승 불교를 믿으며
운남성 서남부에 분포되어 있다. 투지아족, 쫭족, 마오난족, 뿌이족, 찡족, 써족, 머라오족, 미아오족, 챠오시엔족 은 도교와 불교를 믿으며
주로 중남, 동남, 동북과 한족과의 잡거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일부의 찡퍼족, 와족, 나씨족, 따이족, 리쑤족, 미아오족, 야오족, 이족,
뿌농족, 똥족, 챠오시엔족, 빠이족, 하니족, 리족, 리쑤족, 라후족, 쑤에이족, 투족 등이 기독교와 천주교를 믿는다. 신장과 동북에 있는
러시아족 일부 어원크족은 그리스정교를 믿는다. 기타 소수민족은 주로 본 민족이 갖고 있는 원시종교를 믿는다. 그 중에서 동북의 흑룡강과
내몽고지구에 있는 어룬춘, 어원크, 허쪄, 따우얼 및 일부 시버, 만주족 등의 민족은 샤머니즘을 믿는다. 티벳트고원에 있는 먼빠족, 루어빠족 및
일부 티벳트족은 초기 형태의 본교(本敎)를 믿는다. 본 민족의 고유한 종교를 믿는 민족으로는 치앙족, 이족, 빠이족, 하니족, 리수족, 와족,
나후족, 찡퍼족, 까오샨족, 더롱족, 지누어족, 똥족, 머라오족, 야오족 등으로 남방의 넓은 지역에 분포되여 있다.
1) 샤머니즘
샤머니즘은 일종의 공통한 지리와 문화 특징을 갖고 있는 말기 원시종교이다. 이전 샤머니즘은 동의 베링해협에서 서의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이르는 유라시아대륙에서 성행하였다. 주로 우랄-알타이어계에 속하는 민족들이 신앙하였다. 샤머니즘의 명칭은 만주-퉁구스어족의 여러 민족들 무당을
“샤만”이라고 호칭한 이후 얻은 명칭이다. 중국어 사료에는 일찍부터 샤머니즘의 활동에 관한 상황을 기재하였다. 사기(史記), 한서(漢書)와 기타
역사서에 중국 동북의 각 민족 샤머니즘신앙을 기재하였다. 12세기중엽, 남송학자 쉬멍씬(徐夢莘)의 저서
<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會編)에서 처음으로 “샤머니즘은 여진어로, 무당이란 뜻의 “샤머니즘”이란 단어가 기록되었으며 17세기에 이르러
러시아 사람들이 시베리아 여러 민족을 접촉한 이래 “샤머니즘”이란 단어와 샤머니즘의 내용을 최초로 서방에 소개하였다. 이후 “샤머니즘”의 명칭이
통용되었으며 일종의 특정적인 종교이름으로 정착되었다. 현대의 에스키모인과 인디언의 원시종교도 “샤머니즘”이라고 부르며 현재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원시종교를 “샤머니즘”이라고 총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라시아대륙 북부의 우랄-알타이어계에 속하는 각 민족이 신앙하는 말기의
원시종교만을 가리킨다. 중국에서는 알타이어계 언어를 사용하는 북방의 각 민족이 샤머니즘을 믿었다. 고대 민족에서는 최초로 숙신(肅愼),
동호(東胡), 흉노(匈奴)으로부터 그 후의 오환(烏桓), 선비(鮮卑), 유연(柔然), 돌궐(突厥), 회흘(回紇), 힐극사(?戟斯),
말갈(靺鞨)등이었고 거란(契丹), 여진(女眞), 몽고족, 만족 등에 이르는 민족이 샤머니즘을 믿었다. 후에 민족의 멸망과 다른 종교의 진입으로
인하여 샤머니즘은 점차 쇠퇴하였다. 현재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만주-퉁구스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어룬춘족, 어원크족, 허쪄족, 만족, 시버족과
몽고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따우얼족, 멍꾸족, 투족이 샤머니즘을 믿고 있으며 이외에 카자흐족, 키르기즈족 및 위꾸족 등에 일부 샤머니즘의 흔적이
남아 있다.
2) 뻔지아오교(本敎)
뻔지아오는 티베트지구에 널리 퍼진 전통종교로서 티베트어로 “뻔버”라 부르며 일명
“헤이지아오”(黑敎)라고 부른다. 뻔지아오는 원시종교에 불교가 가미되어 발전, 변화된 전통종교이다. 그러나 불교의 지위가 티베트족사회에서
높아짐에 따라 뻔지아오는 배척당하고 신도가 적어져 점차 탈락되었다. 지금 일부 티베트지구 민간에 남아있다. 그 외 뻔지아오 및 초기의 형태는
이웃인 문파, 로파와 납서 등 민족지구에도 널리 퍼졌다. 뻔지아오의 교의는 비교적 똑똑하지 않고 체계도 엄밀하지 않다. 원시뻔지아오시기,
만물유생론의 사상을 토대로 하였고 세계가 삼계로 구성되였다고 인정한다. 상계는 하늘로서 신들이 살고 있고 중계는 땅으로 사람과 영혼이 거주하고
있고 하계는 땅 밑으로서 마귀들이 살고 있다. 현재의 문파 족들도 상계는 여러 신 “라”들이 살고 있고 중계는 땅으로서 “잔” 신이 거주하고
있다고 여긴다. 개구리는 누신(努神)의 아들이라고 인정한다. 이런 사상의 지배로 하여 원시뻔지아오는 특별히 하늘신을 숭배하며 문파족은 인류는
하늘신과 원숭이의 결합으로 생긴 것이라고 여긴다. 때문에 늘 높은 산에 돌무지를 쌓아 놓고 불을 지펴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연기를 통하여 제물이
하늘신께 갈 수 있다고 여긴다. 원시 뻔지아오는 특별히 설산과 호수를 숭배한다. 깡디스산이 지금까지도 뻔지아오의 성지로 간주되며 먼빠족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는 많은 성산을 여신으로 간주하고 숭배하고 있다. 뻔지아오 중에서 여러 가지 주문과 법술이 성행하고 있으며 자연계와 인류사회에
나타나는 불행이 모두 마귀가 앙화를 입힌 것이므로 반드시 주문과 법술로 그들을 대항하여야 한다고 인정하고 있다. 7세기이후 뻔지아오는 다른
종교의 내용을 받아들여 교의가 복잡하게 되었다. 그는 불교뿐만 아니라 인도교, 배화교와 도교의 내용을 받아들여 번잡한 설교를 구성하였다.
3) 똥빠지아오(東巴敎)
똥빠지아오는 나시족이 믿는 원시종교로서 운남과 사천 등지의 나시족 지구에 널리 퍼져있다.
똥빠지아오는 똥빠와 다빠 두 개 파벌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중의 다빠파는 운남 닝랑현 융닝(寧?縣 永寧)나시족 지구에서 성행하고 있다. 두 파벌의
주요한 차이는 똥빠파의 경사(經師)는 “똥빠”라 부르고 <똥빠경>을 사용하고 다빠파의 경사는 “다빠”라 부르고 성문화 된 경문이
없다.
똥빠지아오는 띵빠쓰뤄를 시조로 삼는다. 띵빠쓰뤄는 리쟝(麗江)지구에서는 똥빠쓰뤄라고 부르며 쭝땐현 빠이띠(中甸縣
白地)에서는 똥빠사뤄라고 부른다. 전하는데 의하면 띵빠쓰뤄는 7대 여시조와 9대 남시조가 있는데 악마를 정복하고 인류에게 복을 마련해 주기
위하여 그는 99부의 경과 360명의 제자를 데리고 쭝땐현 빠이띠촌 링똥(中甸縣 白地村 靈洞)에서 와서 똥빠지아오를 전하였다. 이때부터
띵빠스뤄는 똥빠지아오의 교주로 되었고 빠이띠 링똥은 똥빠지아오의 성지로 되었으며 똥빠지아오도들은 모두 링똥에 와서 예배드린다.
똥빠지아오 무당 똥빠와 다빠는 부자계승제를 실시하며 최근에야 제자를 받아들이는 상황이 있었으며 수량도 아주 적다. 똥빠 무당은
이력과 종교지식 수준에 따라 “대똥빠”, “소똥빠”와 “삐랑” 등 등급으로 나눈다. 경문과 각종 의식에 정통하고 “글재주와 점치기에 뛰어나며”
또한 빠이띠 링뚱에 가서 참배를 들인 사람이 “대똥빠”가 된다. 대똥빠보다 종교지식이 덜한 자가 소똥빠가 되며 대똥빠의 조수가 “삐랑”이다.
똥빠가 되기전에 반드시 링뚱에 가서 대똥빠를 스승으로 삼아야 한다. 스승을 따라 경문을 배우고 여러 가지 제사활동에 종사하며 스승을 도와 장소를
배치하고 제물을 잡고 법기와 제물을 나르는 등 일을 하여 똥빠지아오지식을 학습 한다. 똥빠가 학업을 마칠 때 의식을 진행하며 스승이 그에게
“똥빠시조의 화상”과 경서를 준다.
똥빠지아오는 그림과 상형부호로 문자를 만들어 썬 똥빠경전이 있다. 일반적으로 똥빠문은
11세기에 만들어졌으며 주요하게 똥빠가 경문을 쓰는데 사용되었다. 전하는데 의하면 전 세계에 만 4,5천여 권, 30여종의 똥빠경문이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크게 찌펑찡(祭風經), 츄써우찡(求壽經), 카이상찡(開喪經), 초우짼찡(超?經), 찌룽왕찡(祭龍王經), 추후이찡(除穢經),
쇼우자이찡(消災經), 링자찡(零雜經) 등 8가지 종류로 나눈다. 그리고 많은 세속적인 내용을 담은 경전이 있다. 그는 똥빠지아오와 원시종교,
나아가서는 인류 초기문화를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똥빠지아오는 자연숭배와 조상숭배를 주요내용으로 한다. 자연숭배에서 하늘,
용왕, 바람, 산, 곡물에 대한 숭배가 위주이다. 숭배는 가족과 촌락을 단위로 한다. 하늘신에게 봄에 큰 제사, 7월에 작은 제사, 두
차례들이며 제사 시에 제대에 두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각각 하늘신과 땅신을 대표한다. 가운데 나무를 심어 런황(人皇)을 대표하며 세 그루 나무
앞에 조상 신을 대표하는 두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 또 매 그루의 나무 앞에 돌신이 있으며 가축을 잡아 제사를 드리고 모든 씨족성원이 참가하여
농업풍작과 가축번성을 간구한다. 용왕에게도 크고 작은 두차례 제사를 들이며 여러 촌락이 연합하여 7일 동안 제사를 지낸다. 작은 제사는 촌락을
단위로 강가에 도량(道場)을 세우고 사흘 동안 제를 지낸다. 나시족은 “르추비”(日初比)라고 부르는 장수하기를 비는 제사의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월 초나흗날 이후에 씨족촌락을 단위로 하여 제사를 지낸다. 제삿날에 똥빠를 청하여 <장수경>을 외우게 하고 여러 신과
호법신(護法神)에게 제를 지내는 동시에 조상의 영혼을 바래는 의식과 사람을 위해 넋을 불러오는 의식을 진행한다. 똥빠지아오도 귀신을 쫓는 의식이
있다. 해마다 10월에 진행하는데 똥빠는 흙무지 옆에 13개의 귀신 패쪽을 세우고 돼지, 양, 닭을 불 옆에 놓는다. 제사 시에 돼지 등을 쏘아
죽여 그 고기를 익히며 염불을 외우며 귀신 패쪽을 찍으며 웅덩이에 파묻어 악귀신을 좇아냈음을 상징한다. 똥빠경전에는 2200개의 신이 나오며 그
양상은 사람절반 짐승절반이거나 새, 짐승 등 형태로서 모두 토템숭배와 자연숭배의 흔적이 남아 있다. 똥빠지아오는 일부 면에서 라마교의 영향을
받았다.
'선교 교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회개와 믿음에 대한 요청 (0) | 2013.07.12 |
---|---|
중국의 문서선교 (0) | 2013.07.11 |
중국 선교 역사 (0) | 2013.07.11 |
신 중국시기 이전 서양선교사의 과오 (0) | 2013.07.11 |
[복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복음전도와 세속화 (0) | 2013.07.09 |